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9 16:54:3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원격
전체기사
커뮤니티
독자투고
공지사항
구독문의
자유게시판
 
뉴스 > 기고
숲 해설가 원종태의 나무이야기 -자작나무 편-
새 인생의 출발을 밝혀주는 나무
유미란 기자 / news9114@daum.net입력 : 2023년 11월 28일(화) 10:34
요즘의 결혼식은 매우 다양하고 파격적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국고유의 전통혼례도 있지만, 이미 전통혼례를 구식이라고 부른다. 면사포에 웨딩드레스를 입고하는 결혼식이 신식이라 불렸다. 이제는 주례 없이 신랑신부의 부모들이 직접 나서서 예식을 진행하는 최신식이 등장하고 있다. 코로나이후 결혼식 문화도 많이 변화하였음을 실감케 한다.

형식과 절차가 대폭 변경된 자유롭고 이색적인 결혼식이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런 중에도 변하지 않고 지키는 절차가 있다. 양가 혼주들이 나와 촛대에 불을 댕기는 절차다. 크고 작은 행사에는 불을 밝히는 행사는 소중히 다루어왔다. 인류의 제전인 올림픽의 성화는 정성껏 채화하여 세계를 한 바퀴 도는 의식을 거행한다. 혼인의 성스러운 절차의 시작은 불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예나 지금이나 화촉을 밝힌다는 의미는 변함이 없는듯하다. 화촉성전의 의례에 화촉(華燭)은 자작나무와는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 동부중앙신문
나무들도 저마다의 특징을 간직하고 일생을 살아간다. 자작나무는 30미터이상도 자라는 키가 큰 나무다. 넓고 둥근 잎을 달고 있다가 가을이면 노랗게 물이 들고, 겨울이면 잎을 떨어뜨린다. 우리나라 백두산 주변과 시베리아에 무리로 모여 사는 나무로 추위를 즐기는 나무들이다. 자작나무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새하얀 나무껍질에 있다.

새잎이 돋아나는 봄, 하얀 가지와 연둣빛의 나뭇잎은 환상적인 조화를 이룬다. 북방이 고향이라지만 ‘닥터 지바고’라는 영화를 기억하는 분들은 화면 가득이 펼쳐지는 자작나무 바다를 기억하실 것이다. 하얀 수피의 깔끔한 나무가 백의민족을 나타내는 것 같아 특별히 좋아한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다. 자작나무는 말쑥한 신사의 멋이 풍기는 귀족의 풍모를 지닌 나무로 묘사된다.

자작나무는 한자로 화(樺)로 쓴다. 결혼식을 화촉(華燭)이라고 흔히 말하는데 옛날에 촛불이 귀하던 시절 자작나무껍질에 불을 붙여 촛불처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자작나무 껍질은 기름덩어리로 불이 잘 붙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금처럼 밤을 밝히는 전기불이 없던 시절 어둠을 밝히는 좋은 재료였던 것이다. 어둠이 깔리는 저녁 새색시를 맞이하는 집에 자작나무 불꽃이 자작자작 타오르는 정경이 눈에 선하다. 목재는 단단하고 치밀해서 조각재로 쓰인다. 특히 우리나라 국보인 팔만대장경의 경판 일부가 자작나무로 만들어 졌다고 한다. 오랜 세월을 견뎌온 자작나무 경판은 벌레가 먹거나 뒤틀리지 않고 현재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 동부중앙신문
자작나무는 줄기의 껍질이 얇은 종이처럼 벗겨진다. 자작나무 껍질을 벗겨내어 이것으로 명함도 만들 수 있고 글도 쓸 수가 있다. 사랑하는 연인들끼리 좋아하는 모양을 만들어 나누기도하며 사랑의 글귀를 새겨 간직하는 낭만적인 나무다. 그 껍질은 거의 기름기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썩지 않고 보관이 가능하다. 신라시대의 고분 속에서 자작나무 껍질에 글자를 새겨 놓은 것이 발견되어 이를 증명하기도 한다.

ⓒ 동부중앙신문
키가 30미터나 자라는 큰 나무지만 자작나무 씨앗은 매우 작다. 9월 말경에 종자가 여물어 이때 따서 저장한다. 씨뿌리기 1개월 전에 흙속에 매장하거나 축축이 젖은 모래와 함께 저장 후 씨를 뿌리면 발아가 잘된다. 다른 나무에 비하면 공해에는 약하지만 하얀 나무줄기가 독특한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북유럽에서는 잎이 달린 자작나무 가지를 다발로 묶어서 사우나를 할 때 온몸을 두드리는 장면이 TV화면을 통하여 등장하기도 한다. 이렇게 하면 혈액 순환이 좋아진다고 해서 한국에서도 인기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거제수나무나 고로쇠나무와 함께 이른 봄 줄기에 구멍을 뚫고 수액을 채취하기도 한다. 이 수액역시 건강음료로 인기를 누리며 산촌의 소득원이 되고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 자작나무에서 채취한 성분을 정제하여 자일리톨(xylitol)이 함유된 껌을 만들어 낸다. 당분을 대체할 수 있는 자일리톨은 충치예방에도 효과를 발휘한다고 하여 자작나무는 건강을 지켜주는 나무로,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조경수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 무엇보다도 자신을 불태워 어둠을 밝히고 인생의 첫출발을 상징하는 고귀함이 간직된 나무다.

좋은 나무를 골라서 가꾸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날씨가 추운 곳에서 잘 견디는 자작나무는 한국에서는 거목을 보기는 어렵다. 근래 정부주도로 인공조림의 면적을 넓혀나가고 있는 수종이기도하다. 강원도 인재군 원대리나 경북 영양의 수비면 죽파리 검마산에 넓은 면적이 자작나무숲으로 둘러싸여있으며 깔끔한 자태가 특유의 신비스러움을 자아낸다. 사시사철 변화하는 모습이 사람들의 발길을 분주하게 만든다.
유미란 기자  news9114@daum.net
- Copyrights ⓒ동부중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여주교육지원청, 「같이학교 교육과정 시즌2」 실천 모델로 매
여주를 여행하는 관광객 누구나 편하게 머물 수 있는 여주여행
경기도 여주시,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선정 ‘국비 1억 1천만원
여주시, 지역대표 품종 개발을 위한 3년차 시험시작
여주시, 관광 원년의 해 맞이 공원·수목원 대청소
이천시, 간부 공무원 대상
제39회 이천도자기축제 국외교류도시 대표단 방문
이천시 두드림 건강 온(ON) 버스
이천시와 한전, 첨단산업단지 전력망 구축
제39회 이천도자기축제, 1일 방문객 10만 명 돌파
최신뉴스
이천시, 어린이교통공원 교통안전 교육 운영  
경기이천사랑지역상품권 ‘부정 유통 일제 단속’ 추진  
이천시, 제12회 이천세계문화축제 성황리 종료  
이천시, 빈집은행 지원사업 ‘지역 협력 공인중개사’ 모집  
이천시, 미취업청년에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최대 30만  
이천시, 건강한 식문화 실천 캠페인  
대한민국 대표 소설가 김영하, 이천시민과 만나다  
이천시, 인구문제 인식개선을 위한 릴레이 캠페인  
제39회 이천도자기축제, 누적 방문객 100만 명  
이천시, 폐농약 일제 수거 실시  
이천시, 도자기축제 맞아 일반음식점 위생 결의대회  
이천시, 도로명판 49개 신규 설치 완료  
이천시, 3.8만 건 민원 빅데이터 분석 완료  
이천시, 한전과 ‘산불 조기대응 시스템 구축’ 업무협약  
이천시, 민생경제회복 종합대책 2차 보고회 개최  

인사말 편집규약 윤리강령 고충처리인제도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광고문의 제휴문의
제호: 동부중앙신문 / 명칭: 인터넷신문 / 주소 : [우편번호:12634] 경기도 여주시 강변유원지길 45 (지번 : 여주시 연양동 414)
발행인 : 민문기 / 편집인 : 민문기 / 청소년보호책임자 : 민문기 / 등록번호 : 경기다 01205 / 등록일자 : 2010년 1월 28일
mail: news9114@hanmail.net / Tel: 031-886-9114 / Fax : 031-882-6177 / 구독료(월) : 10,000원
Copyright ⓒ 동부중앙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